'AI 시대의 아이폰'을 만드는 오픈AI, 조니 아이브와 손잡다
AI 혁명의 선두주자, 오픈AI
조니 아이브가 만든 'io 프로덕츠' 인수 논의 시작
아이브는 고(故) 스티브 잡스와 함께 수십 년간 애플에서 근무하며 아이폰, 맥북, 아이패드 등의 디자인을 직접 담당했던 전설적인 디자이너입니다. 그는 2019년 애플을 퇴사한 후 자신의 디자인 스튜디오 '러브프롬'을 설립했고, 다수의 애플 출신 인재들을 영입하며 주목을 받아왔습니다.
'AI 시대의 아이폰' 개발 프로젝트
아이브는 오픈AI 대표 샘 알트먼,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과 함께 'AI 시대의 아이폰'을 개발하는 10억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습니다. 이들은 터치스크린 기술과 오리지널 아이폰에서 영감을 받아 새로운 AI 기기를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존 스마트폰과는 다른 형태로, 음성 AI 비서를 구현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고 합니다. 애플 아이폰이 손가락 터치로 UI를 혁신했다면, 오픈AI는 목소리로 AI 시대에 최적화된 UI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오픈AI의 AI 생태계 확장 전략
오픈AI는 AI 기반 산업 생태계 확장을 위해 다양한 스타트업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지난 2021년 자체 펀드를 조성해 약 2조 8,900억 원을 AI, 로봇, 바이오테크, 핵융합 등 핵심 기술 분야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오픈AI가 단순한 투자 펀드가 아닌, AI 중심의 미래 산업 패권을 장악하기 위한 선제적 투자 전략"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즉, 거대언어모델(LLM) 기업을 넘어 생태계를 구축하고 확장하는 빅테크로 성장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io 프로덕츠' 인수 논의도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오픈AI는 엔비디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AI에 최적화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장악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과정에서 기존 협력사들과 마찰이 있을 수 있지만, AI 패권 장악을 위한 선택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오픈AI의 이번 행보가 AI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이라고 평가합니다. 조니 아이브와 같은 디자인 전문가를 영입하고, 새로운 AI 하드웨어를 개발하는 것은 AI 생태계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향후 오픈AI가 어떤 성과를 내놓을지 기대되는 바입니다.
댓글